개미 일기

사회초년생 자산관리에 관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

위스키 마시는 개미 2021. 3. 10. 16:20
728x90
반응형

이글은 그냥 개인적인 생각을 끄적여보는 페이지입니다.

나의 생각과 당신의 생각은 당연히 다를수가 있습니다.

이글을 보게되는 누구든지 저의 생각과 다른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로 싸우자는게 아니고 여러생각들을 보고싶을뿐입니다. 

저의생각과 당신의 생각은 틀린게 아니고 다른것뿐입니다.

 

 

 

 

EBS다큐멘터리 자본주의 시리즈를 보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다.

인류의 탄생부터 현재까지를 24시간으로 어림잡았을때

자본주의가 생겨난 시작점은 24시간 시작중 4초만에 생겨났다.

현사회를 살면서 돈없이 살수는 없다.

그렇다면 어차피쓰는 돈, 많이버는게 장땡인데.....

 

난 개인적으로 돈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

돈 이외에 소중한게 더 많다고하는 사람들은 이해가 안간다.

 

 

건강이 최고라고 한다면 돈으로 건강을 유지할수있고, 병이있다면 돈으로 병원가서 치료를 하면된다.

사랑이 최고라고 한다면 돈으로 사랑하는 사람과 편하고 즐겁게 시간을 보낼수있다.

돈얘기를 꺼내면 속물취급하고 눈쌀을 찌푸리고 부정적으로 말하는 사람들은 

누구보다도 돈을 좋아하면서 아닌척하는것 같다. 

 

저런말을하는 사람들은 나에게 여우와 신포도를 생각나게 해준다.

 

그럼 돈이 많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부자가되면 된다.

그러기 위해선 부자가 어떻게 행동을 하는지, 돈에 대해서 어떤관념으로 접근하는지 알아야한다.

 

돈에 대한 여러가지 시각과 여러가지 관념이 많이있다.

저축만이 답이다!부터 도박같은 투자를하는 사람들까지 100명이있다면 

100가지의 돈에대한 관념이있을것이다.

 

그중에서 부자들만 간추려보았을때 부자들이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것은 

부동산

대한민국에서 부자하면 떠오르는게 강남, 한남동과 같은 땅값이 비싼곳과 부촌이 밀집해있는 지역이 떠오른다.

타워펠리스, 시그니엘, 트리마제같은 주상복합도 같이 떠오르게된다.

신기한건 전부 부동산과 관련돼있다는 것이다.

해외의 어떤 영상을보면 한 남자가 비싼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들에게가서 질문을 한다.

질문은 전부 동일한데 "무슨일해서 그차 샀음?"이다.

그리고 많은 답변은 "Real Estate(부동산)"이라고 한다.

해외도 결국 마찬가지이다.

 

부자와 부동산은 땔래야 땔수없는 관계인것 같다.

그럼 대체 왜? 부자는 부동산을 가지려고 할까?

 

1. 시세차익

이건 주식이랑 같다.

싸게사서 비싸게 판매하는것이다.

 

2. 고정적 수입

부동산을 매입해서 월세를준다면 월마다 고정적인 수입이 생기게된다.

이 형태가 가장 익히 알고있는 '건물주'의 형태이다.

 

대충생각해보면 위의 두가지가 전부인것 같지만 조금더 생각을 해보면

또 다른 이유가 한가지있다.

화폐의 가치를 고정, 동결시키는 것이다.

 

국가는 화폐를 찍어낸다.

그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진다.

지금의 1000원과 10년후, 20년후의 천원의 가치는 다르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화폐의 가치는 떨어져간다.

 

그 화폐를 부동산으로 교환해서 지금 이시점의 화폐가치로 동결시키는 것이다.

부동산은 은행에서 찍어내는 화폐와는 다르게 쉽게쉽게 찍어낼수가 없다.

물론 부동산가격이 오르는데에는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것만이 이유는 아니다.

수요와 공급에의해서 좋은 입지에있는 부동산은 가치가 올라간다.

하지만 다른지역에 있는 부동산도 시간이 흐름에따라 가격이 오르는걸보면 

가격상승의 이유는 수요와 공급만은 아니다. 수요와 공급, 인플레이션 이 두가지가 복합적인것 같다.

 

이게 내가 생각하는 부자들이 부동산을 매입하는 이유같다.

근데 부동산을 소유하는게 한두푼벌어서 앵간치 저축한다고해서 해결될일이 아니다.

그럼 돈없으면 평생 인플레이션 쳐맞으면서 이렇게 살다가 뒤지는건가?

ㄴㄴ 몇억씩없어도 작은돈으로 할수있는 화폐 동결방법(인플레이션 대비)이 있음

 

 

그 왜 그거 있잔아 그거 반짝반짝한 그......

전에 로버트 기요사키(부자아빠 가난한아빠의 저자)가 금얘기하는거보고 금뽕맞아서 금투자를 했엇다.

월마다 적금식으로 한돈씩 샀는데

그때는 주식도 안했을때여서 배당주처럼 홀딩하는법을 모를때였다.

그래서 ㅄ같이 코로나 터지기전에 팔아버렸다.

시세차익을 보기는 했는데.....

지금 금값보면 마음이 아프다....

금값이 내려간 경우도 있지만 현시점 기준으로보면 우상향이다.

금은 연금술사가 존재하지않는 이상 화폐처럼 찍어낼수없다.

신의 만들어준 화폐다.....이말이야

2009년에 한돈 12만원이였던거 생각하면.....ㅗㅜㅑ

 

금투자는 부동산처럼은 내 화폐의 가치를 고정시킬수있는 수단임이 틀림없다.

소액으로도 시작할수있기에 몇억씩 없어도 부동산처럼 화폐가치 홀딩이 가능하다.

하지만 서울 집값처럼 미친 상승은 보여주지않다가. 세상이 혼잡해지면 빛을 발휘한다.

금현물 투자를 한다면 금고열어서 금을 손으로 만지면서 주식과는다른 촉감으로 내 자산을 느낄수있다.

 

 

근데....아무래도 부동산하면 따박따박 월세받는게 로망인데 금은 그런게 없잔어.....?

 

그래서 내가 하는게

배당주식투자

부동산으로 월세받으려면 최소3억정도는 있어야지 가능하다.

하지만 주식으로 월고정수입을 받는건 10만원만 있어도 가능하다.

 

마곡신도시 땅에 4억짜리 4층에 있는 상가로 임대를 했을때

현시점에서 받는 월세는 80만원정도이다.

4억으로 월80만원이 말이되냐고 할수있는데

이건 실제로 우리부모님이 현재 받고있기에 확실하다고 말할수있다.

마곡역 역세권인데도 현재 상황이 저렇다.

ㄹㅇ임 아무리 건물주라고해도 잘못사면 저렇게 됨(엄빠 미안)

우리는 4층이여서 4억인데

1층에있는거 대출로 매입한사람은 가격이 훨씬비싸서 은행이자도 못내고 자살했다는 소문까지 돌았음....

 

그럼 4억으로 월80만원이라면 연2.4%의 수익을 보고있는것이다.

물론 4억보다 싼 건물도 많이있다.

최소2억으로 시작한다고해도 2억이 있어야하는데 2억이 말이쉽지

몇달 적금넣어서 만들수있는 돈이아니다.

뭐 그래 어디서 2억이 당장 있다고해도 건물지어놓는다고 무조건 세입자가 생기는게 아니다.

공실일때는 말그대로 돈까먹고있는거고 부동산에 광고한번내려면 

네이버지도 켜놓고 주변부동산 싹다 찾은다음에 엑셀로 뽑아서 세입자좀 찾아달라고 전화해야됨(엄빠가 시켜서함)

그렇게 몇달기다리다가 세입자가 짜잔하고 나타나면 부동산가서 계약서쓰고 세입자 찾아준 부동산한테

복비(중개수수료)로 150정도 줘야함

그래 뭐 돈까먹는거보다 세입자 맞춰놓는게 돈벌고 좋으니까 시원하게 복비주고 달달히 월세 받으면됨

근데 건물에 하자가 생기거나 문제가 생긴다? 건물주가 다 해결해줘야됨

그리고 월세 밀리거나 월세안주고 도주하는 경우도 있음

사람들이 건물주들은 존나 인생쉽게산다고 생각하는데

내 생각에는 절대 그렇지않음, 인기스타가있고 무명배우가 존재하듯이 부동산도 똑같음

 

그리고 이건 내 배당주식투자 포트폴리오임

내가1년동안 모아온거고 연간 4.3%의 수익이남(배당으로만)

부동산이랑 유사한점도 많음, 기업이 힘들면 배당컷을 할수도있고 배당은 나와도 주가가 떨어질수도 있음

수익률과 안전성은 자기가 어떤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지가 관건임

복비주거나 공실나는거 비교해 봤을때 부동산이랑 비슷한거 같음

하자만 가장큰 메리트는 2억이나 4억없이 10만원부터라도 월세를 받을수있음

연598달러로 월평균 56,934원을 수령받음

 

투자원금은 15,583,035원 정도에 시세차익 1,861,123원보고 현재까지 월배당 300,000원정도 받음

배당투자 처음할때는 배당컷나는거 아닌가.....후달리는데 잘못산 부동산 공실 확률이랑은 비교도 안되게 좋음

회사들이 지들 살아보겠다고 나보다 머리좋은 석사,학사 뽑아놓고 하루종일 돈벌생각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디지게 안망함 ㅇㅇ

 

요약

1.자산관리의 끝판왕은 부동산이다.

2.투자금이 적어도 월세를 받고 싶다? 배당투자 주식

3.투자금이 적어도 현재 화폐가치를 동결시키고 싶다? 금현물투자

 

물론 나의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임

 

이제부터 달마다 아무리 못해도 금한돈이나 실버바100g씩 매입할꺼고 향후 시간이 훨씬 지난시점에 지금의 생각과

바뀐것이 있는지 비교해볼꺼임

728x90
반응형